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

물리량, 그리고 벡터와 스칼라 오늘은 물리량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키백과를 보니 물리량을 아래와 같이 설명합니다. “물리량(物理量)은 물리학에서 대상이 되는 양으로, 측정 가능한 물리학의 양이거나 종종 수치 값과 물리 단위(주로 SI 단위)의 곱으로 표현되는 측정의 결과치이다.” 즉, 물리량이란 물리학에서 다루는 크기를 가지는 추상적인 대상입니다. 물리에서는 각각의 물리량이 어떻게 정의되고 그들 사이의 관계는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 배웁니다. 그렇기 때문에 물리량에 대해 아는 것이 물리 공부에서는 아주 기초적이고 필수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물리량이 어떻게 정의되고 서로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뒤의 포스팅에서 차차 배울것이고 오늘은 물리량의 2가지 종류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물리량은 크게 스.. 2020. 9. 25.
물리란 무엇인가? 물리학을 공부하기에 앞서 물리학의 큰 틀을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물리란 무엇일까요? 물리는 과학의 한 분야입니다. 과학이란 자연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학문으로 자연이 어떤 방식으로 돌아가는지에 대해 과학적인 방법으로 탐구하는 학문입니다. (여기서 과학적인 방법이란 아래의 과정을 거치는 탐구방법을 의미합니다. 1. 어떤 현상에 대해 궁금증을 가진다. 2. 그 현상이 일어나는 원리를 추측한다(가설을 세운다). 3. 여러가지 정보들을 수집해 세운 가설이 맞는지 확인한다. 4. 만약 틀렸다면 다른 가설을 세우고 맞다면 그 가설을 채택한다. ) 예를 들어 연필을 손에서 놓으면 연필은 어떻게 움직일까요. 당연히 바닥으로 떨어집니다. 그럼 왜 연필은 바닥으로 떨어질까요? 이렇듯 현상을 관찰하고 그 현상이 나타나는.. 2020. 9. 17.
쉬운 물리를 시작하며...(블로그 다른 글들을 보기 전 읽기 권장) 안녕하세요. 오늘부터(2020.06.07 오후 11시 02분) 쉬운 물리 블로그를 시작하게 됐습니다. 저는 부산과학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현재 카이스트에 재학중인 대학생입니다. 과학고등학교에서는 보통 암묵적으로 과학(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이나 수학 중 전공을 하나 정하는데 저는 물리를 전공으로 정했었습니다. 고등학교를 입학하기 전 미리 공부했던 과목이 물리밖에 없어서 그나마 자신있는게 물리였기 때문입니다. 자신있게 선택한 과목은 아니었지만 고등학교에서 물리로 꽤 잘 나갔습니다. 교내 경시대회 최우수상도 받고 물리 성적도 계속 높은 성적을 유지했습니다. 자연스럽게 저는 주변 친구들이 모르는 물리 문제가 생기면 물어보러 오는 포지션이 되었고 제가 아는 물리 내용을 친구들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는데.. 2020. 6. 7.
반응형